고등 통합과학

Description

고등 과학 - chdaele
Chaeheon Lee
Flashcards by Chaeheon Lee, updated 7 months ago
Chaeheon Lee
Created by Chaeheon Lee 8 months ago
3
0

Resource summary

Question Answer
빅뱅 우주론의 정의 약 138억 년 전 빅뱅이 일어나 우주가 탄생한 후 지금까지도 팽창하고 있다는 이론
정상 우주론을 제안한 과학자 호일 (Fred Hoyle)
빅뱅 우주론을 제안한 과학자 가모프 (George Gamow)
정상 우주론의 특징 우주의 크기:? 우주의 질량:? 최초 모습:? 새로운 물질의 생성 여부:? 우주의 밀도, 온도:? 우주의 크기: 팽창 우주의 질량: 증가 최초 모습: 현재와 같음 새로운 물질의 생성 여부: 팽창한 공간에 새로 생성 우주의 밀도, 온도: 일정
빅뱅 우주론의 특징 우주의 크기:? 우주의 질량:? 최초 모습:? 새로운 물질의 생성 여부:? 우주의 밀도, 온도:? 빅뱅 우주론의 특징 우주의 크기: 증가 우주의 질량: 일정 최초 모습: 고온•고밀도의 한 점 새로운 물질의 생성 여부: 팽창한 공간에 생성 X 우주의 밀도, 온도: 감소
물질의 구성 입자 순서 (Largest to smallest) 물질 > 원자 > 원자핵 > 양성자, 중성자 > 쿼크 전자
양성자의 쿼크 종류 u,u,d 위 쿼크, 위 쿼크, 아래 쿼크 Up Quark: +2/3 Down Quark: -1/3
중성자의 쿼크 종류 u,d,d 위 쿼크, 아래 쿼크, 아래 쿼크 Up Quark: +2/3 Down Quark: -1/3
빅뱅 이후 시간표, 주요 현상 1. 빅뱅 2. 기본 입자 생성 (쿼크, 전자) <더 이상 분해 X> 3. 양성자 & 중성자 생성 4. 원자핵 생성 5. 수소, 헬륨 원자 생성
빅뱅 후 10^-6초 이후 양성자수와 중성자수 비율 우주 온도 약 10^15K 1:1 양성자:중성자
빅뱅 후 수십 초 양성자수 중성자수 비율 우주 온도 약 3x10^9K 7:1 양성자:중성자
양성자수:중성자수 비율이 1:1 에서 7:1로 바뀐 이유! 우주의 온도가 낮아지면서, 양성자는 중성자로 변환되기 어려워졌고 중성자는 양성자로 변환되기 쉬워졌다
수소 원자핵:헬륨 원자핵 질량비 3:1
우주 배경 복사 의미 빅뱅 후 약 38만 년, 우주의 온도 3000K 원자가 생성되고 빛(전파)가 우주 전체를 채움
빅뱅 우주론을 지지하는 결정적인 증거 우주 배경 복사
우주 배경 복사 관측자 윌슨과 펜지어스 (Arno Allan Penzias and Robert Woodrow Wilson)
빛을 분광기로 관측할 때 파장에 따라 나누어져 보이는 색의 띠 스펙트럼
연속 스펙트럼 모든 파장 영역에서 연속적인 색이 나타나는 스펙트럼
선 스펙트럼 흡수 스펙트럼 방출 스펙트럼
흡수 스펙트럼의 특징 연속 스펙트럼에서 특정 부분이 검은 선으로 나타남 저온의 기체를 통과한 빛을 관측할 때 나타남 저온의 기체를 구성하는 원소가 특정한 파장을 흡수
방출 스펙트럼 특정 파장의 부분이 밝은 선으로 나타남 고온의 기체를 통과한 빛을 관측할 때 나타남 고온의 기체를 구성하는 원소가 특정한 파장을 방출
연속 스펙트럼
방출 스펙트럼 (고온의 기체)
흡수 스펙트럼 (저온의 기체)
빛을 내는 물체가 관측자에게서부터 멀어질 때 적색 편이 (적색 파장이 흡수선의 위치가 길기 때문)
빛을 내는 물체가 관측자에게 다가올 때 청색 편이 (청색 파장이 흡수선의 위치가 짧기 때문)
별의 생성 순서 1. 가스 구름의 형성 2. 성운이 형성 3. 원시별이 생성 4. 별이 탄생
주계열성의 생성 과정 원시별의 중심부 온도 1000만 K 이상 수소 핵융합
주계열성에서의 힘의 평형 내부 압력 = 중력 때문에 별의 크기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적색 거성 생성 과정 주계열성 수소 고갈 > 별의 중심부 급격히 수축 > 중심부 바깥 수소에서 핵융합 > 별 팽창 > 온도 1억 K 이상 > 헬륨 핵융합, 탄소 생성
행성상 성운 생성 과정 적색 거성 헬륨 고갈 > 별의 중심부 급격히 수축 > 헬륨층과 수소층 가열, 별 팽창 > 바깥쪽은 행성상 성운
백색 왜성 생성 과정 주계열성 헬륨 고갈 > 수축 > 백색 왜성
초거성 핵융합 헬륨 핵융합 > 탄소, 산소, 큐소 핵융합 > 최종적으로 철 생성
초신성 생성 과정 초거성의 핵융합 반응 중단 > 중력 수축 > 별 폭발, 초신성이 됨 > 막대한 에너지 방출 > 납, 우라늄 생성 (철보다 무거운 원소) > 탄소, 질소, 산소, 철 등 우주 공간으로 퍼져 나감
중성자별 생성 과정 초신성 폭발 후 별의 중심부 > 중성자별
블랙홀 생성 과정 질량이 매우 큰 초거성 > 초신성 폭발 > 블랙홀
태양계의 형성 과정 (성운설) 1. 태양계 성운 형성 2. 성운의 수축과 회전 3. 원시 원반과 원시 태양 형성 4. 고리와 미행성체 형성 5. 원시 행성과 태양계 형성
태양계 행성의 종류 지구형 행성 목성형 행성
지구형 행성 태양으로부터 거리: ? 온도: ? 행성의 주요 성분: ? 평균 밀도: ? 행성: ? 태양으로부터 거리: 가깝다 온도: 온도가 높은 곳에서 생성 행성의 주요 성분: 암석 성분의 행성 평균 밀도: 무거운 원소 때문에 높은 평균 밀도 행성: 수성, 금성, 지구, 화성
지구형 행성 미행성체 형성과 고체 물질의 생성: ? 가벼운 물질 (메테인 등)은 증발 철, 니켈, 규소 (녹는점 ↑, 무거운 물질)이 미행성체를 형성
목성형 행성 태양으로부터 거리: ? 온도: ? 행성의 주요 성분: ? 평균 밀도: ? 행성: ? 태양으로부터 거리: 멀다 온도: 온도가 낮은 곳에서 생성 행성의 주요 성분: 기체 성분의 행성 평균 밀도: 가벼운 원소로 때문에 작은 평균 밀도 행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목성형 행성 미행성체 형성과 고체 물질의 생성: ? 얼음, 메테인 (녹는점 ↓)등의 물질이 응축되어 미행성체를 형성
지구 형성 과정 1. 미행성체들의 충돌 2. 마그마의 바다 형성 3. 맨틀과 핵의 분리 4. 원시 지각의 형성 5. 원시 바다의 형성 6. 생명체의 출현
물질을 이루는 기본 성분 원소
원소들을 나열했을 때 원소들이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현상 주기율
주기율이 드러나도록 원소들을 배열한 표 주기율표
주기율의 발견 과정 되베라이너 (Döbereiner) 멘델레예프 (Mendeleev) 모즐리 (Moseley)
알칼리 금속의 성질 1. 은백색의 광택 2. 밀도가 작다, 칼로 쉽게 잘린다 3. 실온에서 고체 상태, 열과 전기 전도성 ↑ 4. 반응성 ↑, Li < Na < K 5. 물과 반응하여 수소 기체가 발생한다 (염기성 수용액)
알칼리 금속 족 주기율표 1족 금속 원소 (수소 제외)
할로젠 족 주기율표 17족 비금속 원소
할로젠의 성질 1. 실온에서 원자 2개가 결합한 분자의 형태 HOFBrINCl 2. F, Cl (Gas) Br (Liq.) I (Solid) 각각 특유의 색깔 3. 금속이나 수소 등 다른 원소와 잘 반응한다 4. 할로젠화 수소가 물에 녹으면 산성을 띤다
Show full summary Hide full summary

Similar

Biology Revision - Y10 Mock
Tom Mitchell
Biology- Genes and Variation
Laura Perry
AQA Physics P1 Quiz
Bella Statham
Acids and Bases
Sarah Egan
Using GoConqr to teach science
Sarah Egan
Using GoConqr to study science
Sarah Egan
GCSE Combined Science
Derek Cumberbatch
Physics Revision
Tom Mitchell
The Circulatory System
Shane Buckley
Acids and Bases
silviaod119
Elements, Compounds and Mixtures
silviaod119